대출 이자 계산기 — 원리금 균등·원금 균등·만기 일시 상환 자동 계산

대출 이자 계산기

대출 금액·금리·기간을 입력하면 원리금 균등·원금 균등·만기 일시 상환 방식별 월 상환액, 총이자, 회차별 상환내역을 자동 계산합니다.

%
개월
개월

대출 이자 계산기 사용법

아래 순서대로 입력하면 월 납입액·총이자·총상환액을 자동 계산합니다.

1) 상환 방식 선택 (원리금 균등 / 원금 균등 / 만기 일시)
2) 대출 금액 입력
3) 연 이자율(%) 입력
4) 대출 기간 입력
5) 거치 기간(선택 사항)거치 없음은 0으로 입력하면 됩니다.
6) ‘계산하기’ 클릭

1. 원리금 균등 상환

매월 동일한 금액을 내는 가장 일반적인 방식입니다. 초반에는 이자 비중이 높고 시간이 갈수록 원금 비중이 증가합니다.

  • 월 납입액 일정 → 지출 관리 용이
  • 총 이자는 중간 수준
  • 주택담보대출·전세대출에서 가장 널리 사용

2. 원금 균등 상환

매달 갚는 ‘원금’이 일정하며 이자는 감소합니다. 전체 방식 중 총이자가 가장 적습니다.

  • 초기 월 부담이 가장 큼
  • 시간이 지날수록 월 납입액 감소
  • 경제적으로 가장 유리한 방식

3. 만기 일시 상환

매월 이자만 납부하고 만기일에 원금을 한 번에 상환하는 구조입니다.

  • 월 부담 최소
  • 총 이자는 가장 크며 장기 이용은 비효율적
  • 사업자·단기대출·마이너스통장에서 흔히 사용

대출 방식별 계산 예시 (3,000만원 / 연 5% / 5년 / 거치 없음)

상환 방식 월 납입액 총이자 총상환액
원리금 균등 566,137원 3,968,221원 33,968,221원
원금 균등 초기 625,000원 → 매월 감소 3,812,500원 33,812,500원
만기 일시 125,000원 (이자) 7,500,000원 37,500,000원

※ 금융기관의 일할 계산 여부에 따라 실제 결과는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

상환 방식 한눈에 정리
✔ 원리금 균등 → 월 부담 일정, 가장 대중적
✔ 원금 균등 → 총이자 최소, 초기 부담 큼
✔ 만기 일시 → 월 부담 최소, 총이자 최대

대출 이자 계산 공식

원리금 균등

월 납입액 = P × r × (1+r)^n ÷ ((1+r)^n – 1)
(P: 원금, r: 월이자율, n: 전체 상환개월수)
  

원금 균등

월 납입액 = (대출원금 ÷ 개월수) + (남은 원금 × 월이자율)
  

만기 일시

월 이자 = 원금 × (연이자율 ÷ 12)
만기 시 원금 전액 상환
  

자주 묻는 질문

1. 어떤 상환 방식이 가장 유리한가요?

총이자를 줄이려면 원금 균등, 월 부담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면 원리금 균등이 유리합니다.

2. 거치 기간이 있으면 어떻게 계산되나요?

거치 기간에는 이자만 납부하며, 거치 종료 후 원금 상환이 시작됩니다.

3. 만기 일시 상환은 위험하지 않나요?

만기 시 큰 금액을 상환해야 하므로 재대출·연장 불가 상황에서는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4. 변동금리와 고정금리 차이는?

고정금리는 금리가 유지되고, 변동금리는 기준금리 변동에 따라 변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