BMI(체질량지수), WHR(허리‑엉덩이 비율), WHtR(허리‑키 비율)은 체지방과 특히 복부 지방의 위험 수준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핵심 지표다.
이 계산기는 기본 신체 정보 입력만으로 BMI, WHR, WHtR을 자동 계산하며,
구간별 그래프, PDF 저장, 링크 복사 기능도 제공한다.
※BMI 계산 후 WHR·WHtR을 확인하면 입력된 성별과 키 정보를 일관되게 적용하여 해석할 수 있다.
비만도 계산기 (BMI · WHR 통합)
비만도 계산기 — 핵심 요약
입력 즉시 BMI, WHR, WHtR 값과 위험 수준을 확인할 수 있다. 그래프로 구간 시각화되어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, PDF 저장 및 링크 복사로 기록과 공유도 간편하게 할 수 있다.
Ⅰ. 비만도 계산기 사용법
- 성별 선택 — BMI 및 복부 비만 해석에 중요.
- 나이 입력 — 10~100세 범위 입력.
- 키·체중 입력 — BMI 계산의 기본 정보, WHtR 해석에도 동일 키 사용.
- 허리·엉덩이 둘레 입력 (인치 단위) — WHR·WHtR 계산을 위한 둘레 정보.
- 계산 클릭 — 모든 지표와 위험 구간이 함께 표시된다. BMI 계산 후 WHR·WHtR 결과를 확인하면 해석의 일관성이 높아진다.
- PDF·링크 활용 — 결과를 저장하거나 공유 가능.
Ⅱ. BMI (체질량지수)
BMI는 체중(kg)을 키(m)의 제곱으로 나누어 계산함. 예시: 키 170cm, 체중 70kg → 70 ÷ 1.7² = 24.2
BMI 값은 체지방 정도를 간접적으로 나타내며, 국내 성인 기준 25 이상은 비만으로 분류.
BMI 분류표
| 분류 | BMI (kg/m²) | 설명 |
|---|---|---|
| 저체중 | 18.5 미만 | 체지방 낮음, 건강 관리 필요 |
| 정상 | 18.5 ~ 22.9 | 적정 체중 범위 |
| 비만 전단계 | 23 ~ 24.9 | 체중 관리 필요 |
| 1단계 비만 | 25 ~ 29.9 | 생활습관 개선 필요 |
| 2단계 비만 | 30 ~ 34.9 | 건강 위험 증가 |
| 3단계 비만 | 35 이상 | 고위험, 전문 상담 필요 |
Ⅲ. WHR, WHtR
복부 중심 비만 평가를 위해 허리둘레 측정이 중요.
- WHR(허리 ÷ 엉덩이): 남성 ≥ 0.90, 여성 ≥ 0.85 → 복부비만 위험
- WHtR(허리 ÷ 키): 0.5 이상 → 중심 비만 위험, 0.6 이상 → 고위험
- 허리둘레 측정 방법:
- 발을 25~30cm 벌리고 편안히 서서 측정
- 숨을 내쉰 자연 상태에서 측정
- 측정 위치: 옆구리 기준, 갈비뼈 가장 아래와 골반 가장 위 중간 지점
- 남성 ≥ 90cm, 여성 ≥ 85cm → 복부비만 위험
Ⅳ. 활용 팁
- BMI, WHR, WHtR 모두 확인 → 복부 비만 위험 종합 평가
- 위험이 높으면 운동·식습관 개선 전략 수립에 활용
- 계산 결과 PDF 저장 → 장기 추적 활용
- 링크 공유 → 가족·지인과 건강 정보 공유 가능
Ⅴ. 자주 묻는 사항
1. BMI와 WHR/WHtR 계산기는 어떻게 사용하나요?
기본 신체 정보(키, 체중, 허리, 엉덩이)를 입력 후 계산 버튼 클릭 → 세 지표와 위험 구간 동시 표시.
2. 이 계산기는 의료 조언을 제공하나요?
학습·참고용 수준이며, 진단이나 치료 목적이 아님.
3. 세 지표 중 어느 것을 더 참고해야 하나요?
BMI는 전체 체지방, WHR은 복부 지방, WHtR은 중심 비만 위험 반영 → 모두 확인 권장.